최대 신호 대 잡음비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최대 신호 대 잡음비(PSNR)는 이미지 및 비디오 압축과 같은 손실 압축 코덱의 재구성 품질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지표이다. PSNR은 평균 제곱 오차(MSE)를 기반으로 하며, 데시벨(dB) 단위로 표현된다. 일반적으로 PSNR 값이 높을수록 재구성 품질이 더 높다고 간주되지만, PSNR은 동일한 코덱과 콘텐츠를 비교하는 데에만 유효하며, 인간의 시각적 품질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. PSNR의 변형으로 인간 시각 시스템의 특성을 고려한 PSNR-HVS, 시각적 마스킹을 추가로 고려한 PSNR-HVS-M 등이 있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화상 압축 - JPEG
JPEG은 정지 화상의 디지털 압축 및 코딩을 위한 국제 표준이자 이를 만든 위원회의 이름으로, 1992년 최초 표준 발표 이후 웹 환경에서 널리 사용되는 이미지 형식이 되었다. - 화상 압축 - PNG
PNG는 GIF의 단점을 보완하여 개발된 무손실 압축 방식의 그래픽 파일 형식이며, 높은 색상 표현과 투명도를 지원하고, 8바이트 시그니처와 이미지 정보를 담은 청크들로 파일 구조가 구성된다. - 측정 - 측지학
측지학은 지구의 형상, 크기, 중력장 및 시간적 변화를 측정하고 연구하는 지구과학의 한 분야로,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현대에는 GPS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지구 역학적 현상 연구에 기여한다. - 측정 - 불확실성
불확실성이란 현재나 미래를 정확히 예측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하며, 확률을 알 수 없는 근본적인 불확실성도 존재하고,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위험과는 구별되며, 과학, 경제,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뤄지는 중요한 개념이다.
최대 신호 대 잡음비 |
---|
2. 정의
최대 신호 대 잡음비(PSNR)는 평균 제곱 오차(MSE)를 통해 가장 쉽게 정의된다. 잡음이 없는 ''m''×''n'' 흑백 이미지 ''I''와 해당 이미지의 잡음이 있는 근사치 ''K''가 주어지면, ''MSE''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.
:
PSNR(dB)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.
:
여기서 ''MAXI''는 이미지의 가능한 최대 픽셀 값이다. 픽셀이 샘플당 8비트를 사용하여 표현될 때, 이 값은 255이다. 더 일반적으로, 샘플이 샘플당 ''B'' 비트의 선형 PCM을 사용하여 표현될 때, ''MAXI''는 2B − 1이다.
2. 1. 컬러 이미지
색상 이미지의 경우, 픽셀당 세 개의 RGB 값을 가지며, 최대 신호 대 잡음비(PSNR)의 정의는 평균 제곱 오차(MSE)가 모든 제곱 값 차이의 합이라는 점을 제외하면 동일하다(이제 각 색상에 대해, 즉 흑백 이미지보다 세 배 많은 차이). 또는, 컬러 이미지의 경우 이미지를 다른 색 공간으로 변환하고 최대 신호 대 잡음비(PSNR)는 해당 색 공간의 각 채널에 대해 보고된다. 예를 들어, YCbCr 또는 HSL이다.[1][2]3. PSNR을 이용한 품질 평가
PSNR은 손실 압축 코덱 (예: 이미지 압축)의 재구성에 대한 품질을 측정하는 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. 이 경우 신호는 원본 데이터이고 노이즈는 압축으로 인해 발생한 오류이다. 압축 코덱을 비교할 때 PSNR은 재구성 품질에 대한 인간의 인식에 대한 "근사치"이다.
손실 이미지 및 비디오 압축에서 PSNR의 일반적인 값은 비트 심도가 8 비트인 경우 30~50 dB 사이이며, 값이 높을수록 좋다. 12비트 이미지의 처리 품질은 PSNR 값이 60 dB 이상일 때 높다고 간주된다.[3][4] 16비트 데이터의 경우 PSNR의 일반적인 값은 60~80 dB 사이이다.[5][6] 무선 전송 품질 손실에 대한 허용 가능한 값은 약 20 dB에서 25 dB로 간주된다.[7][8]
노이즈가 없으면 두 이미지 ''I''와 ''K''가 동일하므로 MSE는 0이다. 이 경우 PSNR은 무한대이다 (또는 정의되지 않음, 0으로 나누기 참조).[9]
4. 성능 비교
일반적으로 더 높은 PSNR이 더 높은 품질의 재구성과 상관관계가 있지만, 많은 경우 그렇지 않을 수 있다. 이 지표의 유효 범위에 대해 극도로 주의해야 한다. 동일한 코덱(또는 코덱 유형) 및 동일한 콘텐츠의 결과를 비교하는 데 사용될 때만 결정적으로 유효하다.[10]
일반적으로 인간이 인식하는 이미지 품질 및 비디오 품질을 추정하는 데 있어서 PSNR은 다른 품질 지표에 비해 매우 낮은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.[10][11]
5. 변형
PSNR-HVS[12]는 인간 시각 시스템의 특성, 예를 들어 대비 인지를 통합한 PSNR의 확장이다.
PSNR-HVS-M은 시각적 마스킹을 추가로 고려하여 PSNR-HVS를 개선했다.[13] 2007년 연구에서 PSNR 및 SSIM보다 인간의 시각적 품질 판단에 대한 더 나은 근사치를 제공했다. 또한 DCTune 및 PSNR-HVS보다 뚜렷한 이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.[14]
참조
[1]
웹사이트
qpsnr: A quick PSNR/SSIM analyzer for Linux
http://qpsnr.youlink[...]
2011-04-06
[2]
웹사이트
pnmpsnr User Manual
http://netpbm.source[...]
2011-04-06
[3]
논문
A Comprehensive Survey Analysis for Present Solutions of Medical Image Fusion and Future Directions
2021
[4]
논문
Analysis of the Quantization Noise in Discrete Wavelet Transform Filters for 3D Medical Imaging
2020-02-11
[5]
서적
Fractal and wavelet image compression techniques
https://books.google[...]
SPIE Publication
[6]
서적
Fractal Image Compression
https://books.google[...]
CRC Press
2011-04-05
[7]
간행물
Optimized Transmission of JPEG2000 Streams Over Wireless Channels
2006-01
[8]
간행물
Robust transmission of JPEG2000 encoded images over packet loss channels
School of Computer Engineering, [[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]].
2007
[9]
서적
Data Compression: The Complete Reference
https://books.google[...]
Springer
2012-07-26
[10]
논문
Scope of validity of PSNR in image/video quality assessment
[11]
논문
The accuracy of PSNR in predicting video quality for different video scenes and frame rates
2012-01-01
[12]
간행물
New full-reference quality metrics based on HVS.
2006
[13]
논문
Modified image visual quality metrics for contrast change and mean shift accounting
https://ieeexplore.i[...]
2011-02
[14]
간행물
On between-coefficient contrast masking of DCT basis functions
http://ponomarenko.i[...]
[15]
문서
電気信号ならpowerを電力と訳すのは正しいが、画像の信号では、訳すならむしろ輝度などにする方が良い。しかしPSNRは画像以外の比較にも使用可能であるしパワー程度の単語なら理解されるためパワーとした。
[16]
문서
音響の分野でnoiseを雑音と訳すのは正しいが、"画質の雑音"ではおかしいため、記事名称や[[SN比]]の表現とは統一がとれなくなるがノイズとした。
[17]
논문
Scope of validity of PSNR in image/video quality assessment
[18]
웹사이트
MIT.edu
http://web.mit.edu/x[...]
[19]
문서
これは意味的に元のアナログ信号をリニアPCMで量子化する事と解釈して意訳した。
[20]
웹사이트
qpsnr: A quick PSNR/SSIM analyzer for Linux
http://qpsnr.youlink[...]
2011-04-06
[21]
웹사이트
Image Processing Science calculating RMSE and PSNR for color images
http://www.variousto[...]
2011-04-06
[22]
웹사이트
pnmpsnr User Manual
http://netpbm.source[...]
2011-04-06
[23]
서적
Fractal and wavelet image compression techniques
https://books.google[...]
SPIE Publication
[24]
서적
Fractal Image Compression
https://books.google[...]
CRC Press
2011-04-05
[25]
간행물
Optimized Transmission of JPEG2000 Streams Over Wireless Channels
2006-01
[26]
간행물
Robust transmission of JPEG2000 encoded images over packet loss channels
School of Computer Engineering, [[南洋理工大学|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]].
2007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